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29036
6 AcceleratorKMS: 디지털 콘텐츠의 미래 | 기술 문서 CCMS 소개 신뢰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소스 및 콘텐츠 재사용을 추구하는 이유 AcceleratorKMS는 쉐어포인트와 같은 기존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보다 더 세분화된 수준에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CCMS(구성 요소 콘텐츠 관리 시스템)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쉐어포인트는 워드 문서,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엑셀 스프레드시트 및 기타 바이너리 파일 형식을 개별적으로 열고, 업데이트하고, 파일 시스템으로 반환해야 하는 독립적인 파일로 저장합니다. AcceleratorKMS는 단일 주제, 단락, 문장 및 멀티미디어 자산을 저장하며, 이러한 자산은 CCMS의 구성 요소입니다. AcceleratorKMS는 각 절차, 교육 콘텐츠 주제 또는 기타 콘텐츠를 문장과 단락으로 나누므로 각 문장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재사용하거나 다른 절차 또는 교육 주제에 재조합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문장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유사하거나 정확한 콘텐츠를 찾고, 새 문장을 다시 작성하는 대신 기존 문장을 재사용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세부 단위로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을 주제 기반 작성이라고 하며, 여기서 주제는 특정 주제에 대한 개별적인 단일 정보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더 작고 모듈화된 주제를 결합, 재조합 또는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재사용하여 워드 문서가 출력되는 방식과 같은 실제 출력 결과물을 만들 수 있지만, 관리는 개별 문서 수준이 아닌 중앙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프로세스를 싱글 소싱이라고 하는데, 콘텐츠를 한 번 작성하면 다양한 출력 형식과 결과물에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접근 방식에는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 정확성, 표준화 및 안전성 CCMS의 주제 기반 저작은 통제된 방식으로 더 적은 양의 콘텐츠를 저작하고 일반적인 잘라내기 및 붙여넣기 오류의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콘텐츠와 관련된 정확성, 표준화 및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콘텐츠 작성 및 유지 관리와 관련된 노력 감소로 전체 콘텐츠 양이 줄어들고, 콘텐츠에 더 많은 정밀 조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성, 표준화 및 안전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전달 비용 절감 싱글 소싱을 사용하면 추가적인 저작 작업 없이 주제 기반 콘텐츠를 HTML, PDF 또는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출력 형식으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작성자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하나의 토픽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 토픽은 여러 개의 토픽을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주제의 여러 인스턴스를 다시 작성하거나 유지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 유지 관리 비용 절감 공통 주제를 한 번 작성하고 해당 주제를 반복해서 재사용하면 문서 세트가 훨씬 작아지고 관리하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또한 더 이상 문서 서식을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번역 비용 절감 대부분의 최신 CCMS는 전문 번역 센터 및 번역 관리 소프트웨어와의 통합 기능을 제공합니다. 콘텐츠는 텍스트 기반이므로 번역 센터는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중에 번역할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파일을 사용하여 번역 메모리를 생성하고 콘텐츠의 새 개정판을 기존 메모리와 비교하여 델타만 번역하면 됩니다. 이를 통해 향후 콘텐츠의 변경 사항을 빠르고 저렴하게 번역할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및 투명성 AcceleratorKMS에 통합된 것과 같은 견고한 콘텐츠 거버넌스 모델과 함께 CCMS는 콘텐츠 개발 수명 주기 동안 효과적인 콘텐츠 제작 및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빌트인- 워크플로 및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모든 콘텐츠 업데이트가 검토 및 승인되었는지 확인하고 워크플로우의 오류를 사용자 부주의 또는 프로세스 고장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정형화된 저작과 비정형화된 저작: 개요 정형화된 저작은 XML과 같은 마크업 언어, 콘텐츠의 구조를 정의하는 일련의 규칙, 마크업 소스를 HTML 또는 PDF 와 같은 출력 형식으로 렌더링하는 변환 엔진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작성자 그룹이 동일한 소스에서 다양한 출력 형식을 생성하면서 일관된 구조와 형식의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비정형화된 저작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나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는 등의 다른 유형의 콘텐츠 저작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콘텐츠는 주제 기반 콘텐츠로 간주되지 않으며 다른 출력 형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