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 eBooks

Accelerating Energy Transition Projects Korean

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37644

Contents of this Issue

Navigation

Page 2 of 17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글로벌 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은 인구 증가, 교통 및 산업 부문의 전동화 차세대 인공지능(AI) 사용 사례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들의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전력 및 유틸리티 기업들은 이러한 전력 수요와 동시에 늘어나는 사회 및 비즈니스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대한 기대치도 충족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후 영향 파트너스(Climate Impact Partners)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의 45%가 넷제로(net zero) 목표를 설정했는데, 이는 2020년에 단 8% 가 설정한 것과 대비됩니다. 2024년 세계경제포럼(WEF) 에너지 전환 지수에 따르면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서유럽 국가들이 진보라는 측면에서 오늘날 지속 가능한 에너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환 세계적으로 기업들은 지속 가능성 목표에 맞춰 설비 및 운영 투자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아프리카의 신흥 시장들도 에너지 전환 목표를 점차 수립 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헥사곤은 에너지 전환의 주요 도전 과제들을 깊이 살펴보고, 진보를 가속하기 위한 미래 기술 전략을 개괄적으로 설명합니다. 효과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 에너지 전환 평가지수 2024: 상위 10개 국가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위스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 ��% ��% ��% ��% ��% ��% ��% ��% 아이슬란드 ��% 네덜란드 � � � � � � � � � �� 2024년 순위 주석: 에너지 전환 평가지수(The Energy Transition Index)는 공정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전환 준비도와 에너지 시스템의 성과에 기반해 국가들을 벤치마킹합니다. ETI ���� 스코어 척도 0-100 출처: 세계경제포럼(WEF), ���� 효과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 더 자세히 알아보기 wef.ch/energy�� � ��� �� �� �� �� �� �� �� �� �� ETI Score ���� ���� 1 콰이어트 클라이밋 액션(Quiet Climate Action), 2024년 클라이밋 임팩트 파트너 2 효과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 인사이트 보고서, 2024년 6월, 세계경제포럼(WEF)

Articles in this issue

Links on this page

view archives of Korean - eBooks - Accelerating Energy Transition Project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