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 eBooks

Accelerating Energy Transition Projects Korean

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37644

Contents of this Issue

Navigation

Page 3 of 17

신재생 에너지와 원자력에 집중 세계경제포럼 에너지전환지수(the WEF Energy Transition Index)에 따르면 기존 전력 산업 시장은 주로 수요 증가와 인프라스트럭처 발전이 주도했으며, 발전사, 송배전 기업들, 설비 제조 기업들, EPC 기업들에 지속해서 일거리를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세계경제포럼은 최근 환경이 지속 가능한 투자를 강조하고 있고, 이는 각 지역의 전력 산업 기업들이 확장 위주에서 효율성, 신재생 에너지 통합, 탄소 배출량 감소를 우선시하는 프로젝트로 전환하도록 하는 압박을 주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미국만 놓고 보아도, "기업들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 청정에너지 제조, 청정 전력 발전을 포함하는 청정에너지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2,420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약속했다." 라고 세계경제포럼은 언급합니다. 또한 세계경제포럼은 원자력엔 에너지 전환 가속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이 있다고 언급합니다. 2024년 11월에 발표한 '글로벌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원자력 투자에 변화가 필요하다' 라는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원자력은 이제 풍력 및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보완하며 글로벌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다음과 같이 덧붙입니다.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량을 세 배 늘리기 위해서는 민관 파트너십과 새로운 금융 방식을 이용해 연간 투자를 1천5백억 달러로 늘려야 합니다. 현재 상황에 대한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24년 세계 에너지 투자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력에 대한 전체 투자가 2024년에는 8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2018년 규모의 거의 두 배에 달합니다." 3 '글로벌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원자력 투자에 변화가 필요하다,' 2024년 11월, 세계경제포럼(WEF) 4 세계 에너지 투자 2024, 국제에너지기구(IEA)

Articles in this issue

Links on this page

view archives of Korean - eBooks - Accelerating Energy Transition Project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