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응답자들은 디지털 트윈 연계의 성과를 평균 세 가지로 언급합니다.
가장 많이 언급된 성과는:
더 많은 데이터 통합= 더 많은 성과
56%
53%
38%
54%
47%
29%
비용 절감 투자 수익률 향상
더 나은 데이터 인사이트 확보 통합적 뷰 확보
리스크 관리 향상
자산과 시스템에 대한
여러가지 관점 제공
이 디지털 트윈은 도시 전체를 4시간 반에
걸쳐 항공 촬영한 19,000개 개별 사진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도시의 3D모델로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기반 시설, 초목 등에
대한 데이터가 추가되면서 계속 확대 이용되고
고 있습니다. 단계별 접근 전략은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작은 규모로 시작한 뒤 기술의 가치를
보여준 뒤에 확장하면, 조직 내 모든 단계별로
승인을 받기가 더 쉽습니다.
통합 연계가 늘어날수록 성과도 커집니다.
기업이 디지털 트윈을 더 깊게 활용할수록,
더 넓은 비즈니스 요소와 다른 디지털
트윈과도 통합 연계하게 됩니다. 본 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의 대부분(63%)이 이미
다른 디지털 트윈과 통합 연계되어 있고,
비용 절감(56%)과 데이터의 인사이트(53%)
측면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연결할수록, 더 많은 활용
사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을
정보의 홍수에 파묻히게 하는 위험을
피하면서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면, 단계별 접근 전략엔
분명한 장점이 있습니다: 한 번에 한 단계씩
진행함으로써, 귀사에 맞는 속도로 디지털 트윈
통합의 성과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연결할수록,
더 많은 활용 사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프랭크 서이켄스(Frank Suykens)
헥사곤 비주얼 컴퓨팅 부문 수석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