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 eBooks

The Digital Twin Industry Report Korean

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34295

Contents of this Issue

Navigation

Page 11 of 27

디지털 트윈 산업 보고서 12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을 자율적 운영보다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율/무인 운영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 165 195 둘 다 활용 130 빠르게 발전하고 혁신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디지털 트윈에 대한 오해는 종종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다섯 가지 오해를 풀어보겠습니다. 오해 2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기업이 디지털 트윈을 도입하기 위해 모든 프로세스와 운영을 완전히 디지털로 전환할 필요는 없습니다 - 많은 기업들이 작게 시작하고, 단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전사적으로 확장하기 전에, 단일 구성 요소 또는 활용 사례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헥사곤의 비주얼 컴퓨팅 부문 수석부사장인 프랭크 서이켄스(Frank Suykens)는 디지털 트윈은 각 도입 단계마다 가치를 창출한다고 말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종종 작게 시작해서, 가치를 창출하고, 그 후에 도입 범위를 확장합니다."라고 설명합니다(20페이지 참고). "기업들이 그 가치를 체험하기 시작하면, 이후에는 다른 분야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할 수 있는지 묻습니다." 오해 3 디지털 트윈은 처음부터 완벽한 데이터가 많이 필요하다. 기업은 도입 시점에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작은 규모로 디지털 트윈을 도입해 점차 키워갑니다. 또한, 보고서 뒷부분에서 언급하겠지만, 데이터 품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단지,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종종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비록 문서로 작성되었다 할지라도, 운영 데이터는 보통 존재합니다: 문제는 그 데이터를 디지털화, 인덱싱, 검증하는 것입니다. 밝혀진 다섯 가지 오해 오해 1 디지털 트윈이 인적 전문성을 대체한다. 디지털 트윈이 최종적으로 사람의 감독이 거의 필요없이 완전히 자율적으로 작동하게 될까요? 본 보고서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응답자 절반 이상(53%)은 디지털 트윈이 기존에 사람이 하던 의사결정 일부를 대신할 수 있다고 답했으며, 더 많은 응답자 비율인 59%는 디지털 트윈이 사람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답합니다. 디지털 트윈은 최첨단 데이터 시각화로, 물리적 개체, 장소, 프로세스에 대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입니다. 인공지능과 함께 사용하면(10페이지 참 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강화하고, 사용자는 더 깊은 수준으로 정보를 이해하고, 모니터링, 분 석,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트윈의 이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람을 배제하지 않을 것입 니다 - 적어도 지금은 그렇습니다.

Articles in this issue

Links on this page

view archives of Korean - eBooks - The Digital Twin Industry Report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