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 Case Studies

글로벌 석유화학사의 기준정보(Master Data)관리 디지털 혁신

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33787

Contents of this Issue

Navigation

Page 0 of 1

사례 연구 글로벌 석유화학사의 기준정보(Master Data)관리 디지털 혁신 배경: LG화학은 한국의 석유화학사로 글로벌 4위의 세계적인 회사입니다. 국내외 여러 지역에 대규모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약 19,25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최근 반복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현장 Engineer의 업무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설비관리 PI (Process Innovation) 및 설비정보의 표준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여러 지역으로 분산된 각 플랜트는 공정 별 매우 다양한 설비 타입이 존재하며 서로 다른 시기, 다른 EPC사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데이터의 품질 편차가 다르고, 용어나 단위(Unit of Measure), 속성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는 업무 상의 통일성을 저해하고 비효율과 관리의 어려움을 야기하였습니다. LG화학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고자 대규모의 프로세스 혁신(PI) 컨설팅을 진행하였고 담당했던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PwC에서는 MDM시스템의 도입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기준정보관리(Master Data Management) 도전과제: 설비 기준정보는 분류체계(위치, 설비유형)를 바탕으로 다양한 속성(운영용, 관리용)정보와 이를 최신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Handover 데이터관리 및 변경관리, 유관시스템 연계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설비 유형별로 관리 기준과 기능이 상이하여 표준화가 어렵고, 공장 별 다른 라이센서, 관리수준의 차이로 공장 별 편차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참고할만한 글로벌 표준이 필요했고, 그를 바탕으로 LG화학만의 표준화가 진행되어야 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관리 대상의 기준정보는 계속해서 변화하였고, 유관시스템이 많아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한번 구축된 이후 체계적으로 변경관리를 하지 않는다면 몇 년 후 다시 또 재정비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지역, 다양한 공장의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쉽고 편한 U/I 가 요구되었습니다. 1.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를 제약 없이 모두 담을 수 있는가? 2. 필요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해야 하며, 변경관리 기능이 있는가? 3. 누구나 배우지 않아도 사용 가능한 직관적인 U/I를 가지고 있는가? 주요 사실: 산업: 석유화학 및 첨단소재 생산 플랜트 고객: LG화학 (Global Top 50 Chemical Company 중 4위 by C&EN) 프로젝트 현장: 한국 LG화학 여수 공장 사용 제품: HxGN SDx ® 주요 이점: • 글로벌 표준(ISO 14224, CFIHOS) 기반의 체계적인 기준정보(Master Data) 관리 • 기준정보 변경 프로세스 및 유관시스템 데이터 연계 거버넌스 구축 • 기준정보의 품질 향상 및 정합성 확보 • 설비의 신뢰성 향상 • 규제 및 법규 대응

Articles in this issue

Links on this page

view archives of Korean - Case Studies - 글로벌 석유화학사의 기준정보(Master Data)관리 디지털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