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 eBooks

엔터프라이즈 자산 관리가 진화해야 하는 이유

Issue link: https://ko.ali.hexagon.com/i/1529027

Contents of this Issue

Navigation

Page 3 of 12

4 조직은 Maintenance 4.0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가? 유지보수 성숙도 모델은 설비 집약적 산업이 각각의 연속적인 유지보수 수준을 통해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하여 어떻게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지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3 Maintenance 1.0 Maintenance 1.0 수준의 조직은 육안 검사에 의존하여 문제를 감지하고 사후적으로 유지보수를 관리합니다. 즉, 설비가 고장날 때까지 실행한 다음, CMMS 및/또는 EAM을 이용하여 수리를 관리합니다. Maintenance 2.0 이 수준의 조직은 사전 계획된 시간 간격으로 기계를 유지보수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예방적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예방적 유지보수는 CMMS 및/ 또는 EAM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Maintenance 3.0 Maintenance 3.0은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설비를 모니터링하고 경고를 전송합니다. 이는 유지보수 성숙도 모델의 상태 기반 유지보수 및 예측 유지보수에 부합합니다. EAM 시스템은 가장 기본적인 유형의 예측 유지보수를 수행하도록 이러한 경고를 사용합니다. Maintenance 4.0 Maintenance 4.0은 APM 솔루션에 의존하여 센서의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 정보를 제공하여 설비 고장 시 이를 정확하게 밝혀 향상된 예측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APM은 처방적 유지보수 워크플로를 자동화하여 기업이 예측된 문제를 주도적으로 수정하여 설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합니다.

Articles in this issue

view archives of Korean - eBooks - 엔터프라이즈 자산 관리가 진화해야 하는 이유